Search
유스비(useB.) 블로그
유스비는
인공지능 기술
을 통해
규제 문제
를
극복하는
레그테크(RegTech) 전문기업 입니다!
유스비(useB.) 솔루션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지금 바로 홈페이지에 문의를 남겨주세요! 담당자가 빠르게 연락드립니다
→ 더 알아보기
유스비(useB.) 홈페이지 바로가기
공지사항
유스비 커리어(useB. Career)
Featured
들어가며
최근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과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금융사고 예방 및 내부통제 개선을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업계 특성에 맞는 내부통제 개선방안을 마련함에 따라,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업무 절차 개선
도 함께 마련했는데요.
금융위는 우선 디지털화에 따른 저축은행 전자금융사기를 방지하기 위해
신분증 사본 판별 시스템을 올해 중 도입
해 비대면 여·수신 업무에 적용하고 상시 감시, 검사 등을 통해
개선방안 운영상태를 점검할 계획
을 밝혔습니다.
오늘은 금융감독원에서 필수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분증 사본 판별 시스템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축은행 '신분증 사본 판별시스템' 도입
신분증 사본 판별 시스템?
저축은행, 신분증 사본 판별 시스템 도입 필수?
News
RegTech
Solution
들어가며
최근, 미국 당국에서는 러시아
자금세탁을 지원한 혐의
로 암호화폐 거래소
‘비츠라토(Bitzlato)의 설립자를 기소
했습니다.
법무부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츠라토는 개인 간(P2P) 서비스를 제공하고, 월렛을 호스팅해 범죄자의 불법 거래를 지원한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재무부 금융범죄단속망(FinCEN)은 비츠라토를 ‘주요 자금세탁 우려 대상’으로 분류하며 전 세계에서 완전히 차단하는
가장 강한 제재 조치
를 취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자금세탁방지 관련 해외 제재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금세탁방지 제재와 관련한 해외 사례의 특징
자금세탁방지(AML)제도는 엄격한 국제규범에 따라 대부분의 국가가 이행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소 설립자 기소, AML 해외 제재 사례는?
News
AML
RegTech
들어가며
우리금융그룹은 최근 MZ세대의 86.8%가 금융거래 시 비대면 채널을 이용하고, 최근 3개월 동안 지점을 방문한 비중은 42.4%에 불과하다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금융 서비스의 비대면 전환은 소비자들의 생활 속에 깊게 자리잡고 있는데요. 하지만 그와 동시에 핀테크를 악용한 자금세탁 범죄 사례와 불완전한 규제 가이드라인으로 인한 문제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금융위는 해결책으로
기존 사전규제 방식으로 운영하던 정책들을 ‘과태료 중심의 사후책임 방식’으로 전환
하여 지속적인 변화에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오늘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금융규제 강화와 금융사의 핵심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는 ‘금융보안’을 다뤄보겠습니다.
이제는 생활 속에 자리잡은 핀테크, 하지만 여전히 규제측면에선 개선할 여지가 많습니다.
핀테크, 뚜렷한 규제 기준확립이 어려운 이유
먼저 비대면 금융 서비스들의 금융 규제 기준을 확립하고 준수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대면 서비스의 규제 기준을 비대면 서비스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
입니다.
특히 자금세탁방지(AML) 관련 규제를 준수함에 있어 기존 대면 서비스에서는 창구 직원들이 처리했던 고객확인(KYC), 의심거래보고(STR)와 같은 절차들이
비대면에서는 서비스의 UIUX를 통해
진행되면서 여러 허점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비대면 금융 시대, 사전규제에서 사후책임으로
News
RegTech
들어가며
핀테크 시대에 접어들면서 우리는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를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비대면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트렌드에 적합한 서비스들이 등장함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의 금융실명법 준수’
를 위한 규제와 기술 발전도 함께 진행되어 왔습니다. 대표적으로 저희 유스비에서 제공하고 있는
‘eKYC 솔루션’
과
‘신분증 인증 API(OCR+진위확인)’
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최근 이러한 인증 기술들의 헛점을 악용한,
신분증 도용 범죄 사례들이 확산
되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신분증 도용을 통한 주요 범죄사례들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비책인 홀로그램 판별기술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읽으면 좋은 포스팅
이제는 대부분의 핀테크 서비스 이용자에게 익숙한 신분증 인증(ID Verification)
신분증 도용 범죄 방지하는 ‘홀로그램 판별’ 기술
RegTech
News
들어가며
올해 8월, 국내에서 불법 영업중인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16곳을 대상으로 금융정보분석원(FIU)의 본격적인 조사와 제재가 이뤄질 것이라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하지만 4개월이 지난 지금도 해당 거래소들은 한국어 홈페이지 지원하거나 국내 구글플레이 스토어에 앱을 등록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금융당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배짱영업’
을 이어나가고 있는 것인데요.
반면에
공식적인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 후 국내 진입을 시도한 거래소
들은 FTX 사태의 여파로 인해 사업 진행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을 유스비에서 다뤄보았습니다
먼저 읽으면 좋은 포스팅
불법 배짱 영업? 해외거래소 국내 진출 현황
News
AML
레그테크(RegTech) 전문기업
유스비,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
2년 연속 선정
올해에 이어 2023년에도 유스비(useB.)의 솔루션을
최대 4,000만원의 정부지원금
을 통해 이용하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분증 인증
,
1원 인증
,
안면 인증
솔루션과 다우존스 WLF DB, 공급망 실사 대비 서비스 도입을 희망하시는 분들에게는 정말 좋은 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
저희 유스비에서는 내년
상반기 수요기업 접수시기
에 맞춰 미리 준비하실 수 있도록, 다양한 안내서비스를 준비중입니다
데이터바우처란?
데이터바우처는 기업의 데이터 활용 증진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바우처 형태로 제공하는 정부지원사업입니다.
유스비는 가공 서비스 부문의 공급기업으로서, 고객사가 가진 원천 데이터를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하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제공
할 예정입니다.
데이터바우처에 대해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다면?
→ 데이터바우처 플랫폼 바로가기
유스비 솔루션, 2023 데이터바우처로 이용하세요!
Solution
RegTech
들어가며
최근 FTX 사태의 여파로 인해 가상자산 사업자들의 불공정거래에 대한 관리권한이 금감원에게 넘어간 것을 비롯하여 감독기관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로써 VASP의 신고부터 운영까지,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금융위와 금감원의 관리 감독
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그로인해 자율규제의 축소가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율규제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는 가운데,
주도적으로 AML 체계를 갖춰 서비스의 경쟁력으로 삼는 사례
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본문에서 더욱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의 강화, 다시 감독기관 중심의 규정 중심으로 돌아가게 될까요?
자율규제에 대한 불신? 감독기관의 영향력 지속적 확대
금감원 가상자산 감독권한 강화, 자율규제 불신 확산
AML
RegTech
News
들어가며
지난 11월 28일 오전,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제 16회 자금세탁방지의 날’ 기념식이 개최되었습니다. 기념식에서는 우리나라 자금세탁방지의 현황 및 해결과제에 대한 공유, 국내 AML 강화에 기여한 8개 기관과 26명의 개인 유공자에 대한 포상이 이뤄졌습니다.
특히 가상자산 서비스의 자금세탁방지를 위한 대책마련과 함께
자금세탁 위반시의 금전제재가 강화
되어야 한다는 의견들이 오고 갔습니다. 현재 최고 수준인 과태료 1억원이 해외와 비교했을 때 턱 없이 낮은 수준이라는 점을 지적했는데요.
본문에서 더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은행과 하나저축은행, 우수한 AML 체계로 표창 수상
금융정보분석원은 2001년
11월 28일을 ‘자금세탁방지의 날’로 지정
하고, 자금세탁방지 업무에 대한 이해 제고와 인식 확산을 위해 2007년 이후 매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제 16회 자금세탁방지의 날, '자금세탁 위반 시 제재 강화’
AML
RegTech
News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고객사의 규제를 기술을 통해 극복하는 레그테크(RegTech) 전문기업 유스비 입니다.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바로
‘정치적 주요인물(PEP, Politically Exposed Person)’
입니다. 정치인 혹은 그에 준하는 영향력을 가진 이들은 자금세탁, 부정부패와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금융 서비스 이용에 있어 제약을 부여받게 됩니다.
특히
외국의 정치적 주요인물(Foreign PEP)
의 경우에는 요주의 인물 필터링(WLF), 위험평가(RA)를 통해 대부분의 거래를 거절하게 되는데요.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을 본문에서 다뤄보겠습니다. :)
자금세탁과 뇌물수수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정치적 주요인물도 자금세탁방지에 있어 주요 타겟이 됩니다.
정치적 주요 인물(PEP)과 자금세탁
[KYC 101] 정치적 주요인물(PEP, Politically Exposed Person)
AML
RegTech
들어가며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3위에 위치했던, FTX의 파산 사태로 인해 국내에서도 가상자산 서비스들의
소비자 보호와 신뢰성 회복을 위한 조치
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관계자들은 이번 FTX 파산 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기업 내부의 부패와 자기 발행 코인을 악용
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판단하여 내부통제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TX 사태와 관련된 금융당국이 보이고 있는 움직임과 개선과제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FTX 파산, 뱅크런 사태는 또 다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의 필요성을 상기시켰습니다.
FIU, 국내 VASP 대상으로 AML 중요성 당부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두마누, 빗썸, 코인원, 코빗, 스트리미 등 국내 대표 가상자산사업자 5개 업체를 대상으로 대표자 간담회를 개최하고 자금세탁방지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FTX 파산 사태, 이용자 보호를 위한 규제 논의
AML
RegTech
News
Load more
useB. RegTech Story
저축은행, 신분증 사본 판별 시스템 도입 필수?
News
RegTech
Solution
암호화폐 거래소 설립자 기소, AML 해외 제재 사례는?
News
AML
RegTech
비대면 금융 시대, 사전규제에서 사후책임으로
News
RegTech
신분증 도용 범죄 방지하는 ‘홀로그램 판별’ 기술
RegTech
News
불법 배짱 영업? 해외거래소 국내 진출 현황
News
AML
유스비 솔루션, 2023 데이터바우처로 이용하세요!
Solution
RegTech
제 16회 자금세탁방지의 날, '자금세탁 위반 시 제재 강화’
AML
RegTech
News
[KYC 101] 정치적 주요인물(PEP, Politically Exposed Person)
AML
RegTech
FTX 파산 사태, 이용자 보호를 위한 규제 논의
AML
RegTech
News
[KYC 101] 제재 목록(Sanction)
AML
RegTech
국내 최대 법률사무소, '자금세탁방지' 전문 팀 구성
News
RegTech
AML
[KYC 101] 법인 실제 소유자 확인, UBO(Ultimate Benefitial Owner)
AML
RegTech
블록체인 위크 인 부산(BWB), 바이낸스 한국시장 진출 본격화
News
RegTech
AML
[KYC 101] 외국인 고객확인(KYC for Foreign Nationals)
AML
RegTech
금융위 FATF AML 총회 참석, 협력 강화논의
News
RegTech
AML
[KYC 101] 강화된 고객확인의무(EDD)
AML
RegTech
핀테크 겨울, 해결책은 레그테크와 금융 클라우드
News
RegTech
AML
[AML 101] 내부통제(Internal Controls)
AML
금융감독원, 내부통제 운영 개선과제 발표
News
AML
RegTech
핀테크의 그림자, 자금세탁의 위협
AML
RegTech
[AML 101] 위험평가, RA(Risk Assessment)
AML
RegTech
FIU, 가상자산사업자 AML 의무 미흡 사례 발표
News
AML
RegTech
유스비(useB.) 팀 인터뷰 - CEO 김성수, CISO 황희준
Team
[AML 101] 직원 알기 제도, KYE(Know Your Employee)
AML
RegTech
의견이 엇갈리는 ‘부산시 디지털 자산 거래소 설립’
News
RegTech
AML
유스비(useB.) 팀 인터뷰 -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Team
미얀마 자금세탁 고위험국가 지정 - 이란, 북한에 이어 세 번째
News
RegTech
AML
유스비 얼굴인식기술, KISA 바이오 인식 인증 통과
RegTech
Success Case
Solution
[AML 101] 법인 고객 검증, KYB(Know Your Business)
AML
RegTech
신규 가상자산사업자 활로 열어준 ‘ISMS 예비인증’
AML
News
RegTech
가상자산사업자(VASP)란? - VASP의 정의와 종류, 그리고 전망
RegTech
AML
[AML 101] 요주의 리스트 필터링, WLF(WatchList Filtering)
RegTech
AML
자금세탁방지(AML) 전문인력 관련 교육 확대, 그 이유는?
News
RegTech
AML
유스비 1원 인증 솔루션, 네이버 금융 클라우드와 솔루션 파트너십 체결
Solution
RegTech
News
FIU의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제재, 원활한 한국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News
RegTech
AML
금융 클라우드 서비스란? - 금융권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RegTech
Solution
AML
[AML 101] 고객확인(KYC)과 고객확인의무(CDD, EDD)
AML
RegTech
‘대형 증권사 가상자산 거래소 설립 추진’ VS ‘사실 무근’, 그리고 이에 대한 시사점
News
AML
RegTech
“신분증 인증, 1원 인증, 안면인증, 왜 필요할까요?” 본인인증의 A-Z
RegTech
AML
[AML 101] 위험기반 접근방식, RBA(Risk Based Approach)
AML
RegTech
솔루션 성공 사례 - 소상공인 손실보상 프로젝트
Success Case
RegTech
Solution
유스비(useB.) ISO/IEC 27001 국제 표준 인증 획득
News
[AML 101] 의심거래보고 STR(Suspicious Transaction Report)
AML
RegTech
[AML 101] 자금세탁방지란? AML(Anti Money Laundering)
RegTech
AML
전동 킥보드 무면허운전 방지를 위한 고객확인 솔루션
Solution
RegTech
유스비(useB.) 한국자금세탁방지협회 주관, 금융 범죄 대응 관련 세미나 참석
News
RegTech
유스비(useB.) 팀 인터뷰 - 마케팅팀 조효식(Josh)
Team
유스비(useB.) B2B 서비스 제공방식 : API vs SDK vs SaaS
RegTech
전자계약 업체를 위한 eKYC 솔루션
Solution
RegTech
유스비(useB.) AI EXPO KOREA 2022(국제인공지능대전) 참여!
News
Load more
유스비(useB.) 프로모션
유스비(useB.)와 함께 성장하고 싶으시다면?
지금 바로 지원하세요! 다양한 직군의 동료를 찾고 있습니다.
→ 더 알아보기
2018 useB. All rights reserved.